
안녕하세요? 김세랑입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 아트피겨 제2부는 조선시대 표준 군복인 구군복 차림의 완전무장 상태, 즉 동달이와 전복을 착용하고 광대와 전대를 착용, 병부 주머니와 전립을 착용한뒤 등채, 칼, 활과 화살을 모두 착용한 모습입니다.
원래 우리 국궁은 별도로 옻칠을 하지 않습니다만, 전투에 사용되는 활은 습기를 조금이라도 막아보고자 검은 옻칠을 하게 됩니다만 이런 전투용 활은 현재 제대로 유물이 남아 있는 것이 없습니다.
제가 만든 활은 조선 중기의 전투용 활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했지만 색칠은 일반 활의 모습으로 칠했습니다.
사부(활꾼)들과는 달리 이순신 장군이라면 아무래도 좀더 아끼던 활을 사용할 수 있지도 않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시각적으로 이편이 훨씬 더 익숙하고 화려해 보이기때문입니다.
활과 화살을 수납하는 동개는 유물들이 많이 남아있는 편이지만 거의 모든 유물에 달려있는 길다란 자주색의 끈에 정체와 용도에 주목한 학자와 재현가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현재 재현되어 제작된 동개들은 모두 이 끈을 생략해버리고 없습니다.
각종 자료와 민화속의 활쏘는 모습, 의궤의 그림, 모형으로 만들어 이리저리 고민하고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동개의 패용방법은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습니다.
자주색 끈은 화살과 활의 무게에 의해 이리저리 움직이고 돌아가 버리는 동개를 제 위치에 든든히 고정하고 무게를 배분시키는 어깨걸이 끈으로 사용돨 수 밖에 없습니다.
가장 큰 증거는 궁중무용인 선유락에 등장하는 모습과 민화와 의궤속에 간략하게 묘사된 그림에서 유추한 것입니다.
재료의 특성상 활을 만작 상태까지 당길 수 없어서 발사 직전의 사진을 얻어낼 수는 없었는데, 나중에 만작된 활을 따로 만들어서 꼭 발사 직전의 모습을 재현해 보고 싶습니다.
다음편에는 드디어 갑옷을 입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
leaf 2013.05.07 18:32
안녕하세요!
보고 완전 쩐다! 해서 구매의욕 업되서 왔는데 역시 다시봐도 쩌네요.
이순신 장군님이 쓰시던 삼척서천 산하동색 일휘소탕 혈염산하 라는 칼은
제작 안된게 조금 아쉽네요 ㅠㅠ
3척이 넘는 검에 일휘소탕 혈염산하! 라고 새겨져 있었으면
앞뒤 안가리고 질렀을텐데 ㅎ
작은 소망이었슴다 죄송해요 ㅠ -
한보현 2013.05.07 19:05
안녕하세요~~
우연히 작품을 보게 되어 들렸습니다
정말 멋진 작품이네요
고증에도 신경을 많이 쓰신 것 같구요
다만 한가지 아쉬운점이 있어서요
- 임진왜란 420주년 기념작 - 이라고 하셨는데
우리나라에 많은 피해를 가져온 전쟁이라
- 기념작 - 보다는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해서 글 남깁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작풉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 -
세상의모든지식 2022.04.18 12:19
안녕하세요. 작가님. 저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세상의모든지식입니다. 저희가 제작하는 콘텐츠 중에서 인물들의 생애를 다루는 인물백과사전이라는 콘텐츠가 있는데요. 이번 4월 28일 충무공 탄신일을 맞아서 이순신 장군에 대한 인물백과사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작가님께서 복원하신 이순신 장군님의 이미지를 혹시 활용할 수 있을까 하여 연락드리게 되었습니다. ^^ 이미지가 사용되는 부분은 출처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