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도 훨씬 더 전, 아카데미 프라모델 콘테스트의 심사를 보러갔다가 내 눈에 쏙 들어온 두 고딩 형제들이 있었다.
어린나이에도 불구하고 그 재능이 반짝반짝 빛나던 두 형제는 동생은 인형을 만들어 색칠하고, 형은 탱크와 배경을 만들어 작지만 멋진 디오라마를 출품했었다.
당시 이 친구들을 눈여겨 본 나는 곧바로 따로 연락해 잡지필진으로 데뷔시켰고, 그중 동생인 광렬이는 내 첫번째 모형제자가 되기도 했다.
수년이 흘러 학교를 졸업하고 형인 성렬군은 군대로, 동생은 호주로 이민을 가서 각각 다른 삶을 살았는데 실로 오랜만에 광렬이가 잠시 귀국을 해서 셋이 함께 만나게 되었다.
연년생임에도 불구하고 영락없는 형 노릇을 멋지게 해내고 있는 성렬이는 항상 믿음직스럽고, 광렬이는 당시 내 심미안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54mm 밀리터리 피겨 원형사로 활동중이다.
셋이서 밤 늦도록 예전 추억과 모형에 관한 이야기에 빠져든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다.
잊지않고 찾아준 성렬, 광렬 두 형제가 고맙고 반갑다.
그나저나 요놈들이 벌써 서른을 바라본다니... 내가 나이를 먹긴 먹은 모양이다... 흑~

의뢰를 받아서 만들고 있는 인물.
액션피겨는 아니고 가슴까지 재현되는 흉상으로 제작된다.
안경을 써야하는데 만들기가 까다로와서 고민중... 오래간만의 개인 의뢰작이라서 잘 만들어 드리고 싶다.


반드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너무나 유명한 그 이기에 서울 시립미술관은 미술 전시회가 아닌 시장판 처럼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아마도 제가 다녀본 미술전시중 가장 사람이 많은 전시였던 것 같습니다.
미술학도 시절, 고흐는 여느 미대생에게나 그랬듯이 마음속의 스승과도 같은 존재였습니다.
그림 속으로 빠져들고 싶을 만큼 찬란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별이 빛나는 밤]은 물론이고 눈부시게 화려한 [해바라기], 그리고 귀를 자른 고흐의 자화상은 철없는 예비작가의 가슴을 미치도록 휘저어놓는 최고의 걸작이었습니다.
그의 예술과 삶을 탐닉하다가 그가 세상을 떠난 날짜인 7월 29일이 제 생일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았을때는 마치 고흐의 영혼이 내게 들어오기라도 한듯이 전율에 떨었더랬습니다.
물론, 그의 생몰연대는 저와는 큰 차이가 나므로 사실 아무런 연관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에게 최면을 걸듯 '내 영혼속에는 고흐의 정신이 들어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덕분에 미술을 하게된 것은 운명이다 라는 황당한 생각을 하기도 했습니다.

고흐전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중의 하나는 그가 생전에 했던 말 한마디였습니다.
"내 그림이 물감튜브 한조각 값보다는 훨씬 가치가 있다는 것을 언젠가는 알게될 것이다"
피를 토하듯 외치는 그의 모습이 떠오르는 이 처절한 고백은 고흐의 삶과 정신세계를 한마디로 대변하는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림을 그린 평생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해준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는 철저하게 외톨이였으며, 살아 생전에 단 한점의 유화를 팔았고 미치광이 소리를 들어가며 필사적으로 그림을 그린 사람입니다.
마치 화폭과 싸움을 하듯 찍고 그어댄 물감으로 만들어진 그의 [자화상]과 [담배를 문 해골]이 묘하게 겹치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입니다.
그는 평생 삶과 세상, 그리고 자신의 영혼과 싸워가며 죽음과 구원을 노래했습니다.
밋밋한 인쇄물이나 리프린트가 아닌 실물로 대한 그의 그림은 평면임에도 평면이 아니었습니다.
'전투적인' 그의 붓터치는 화면에 나무를 세우고 풀을 자라게 했으며 바람이 불게 만듭니다.

날이 서듯 선명한 원색과 각진 터치는 광기어린 색과의 싸움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오늘, 그의 그림들을 실제로 보기전까지 내 머리속에 있는 고흐의 이미지는 '카드뮴 옐로우' 였습니다.
태양과도 같이 강렬한 노란색은 대표작인 [해바라기]를 비롯해 고흐의 그림 곳곳에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이런 생각은 오늘 완전히 바뀌고 말았습니다.
고흐의 그림은 냉철함의 상징과도 같은 '코럴 그린'이 곳곳에 들어있었고, 특히 그의 '블루'는 마치 심연과도 같은 슬픔을 가득 담은 블루였습니다.
고흐의 그림에서는 그의 고통과 슬픔이 뚝뚝 흘러내리고 있었습니다.

[비탄에 잠긴 노인]은 고흐의 작품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원색이 많지 않은 작품입니다.
병원을 연상시키는 흰벽을 배경으로 의자에 앉아 몸서리치는 슬픔에 얼굴을 가린 이 노인의 모습에서 전 고흐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잔인하리만큼 소외되고 외로왔으며 미치도록 간절했던 그의 예술세계를, '제발 좀 나의 세계를 알아달라! 나는 미쳐버렸다!' 라고 절규하는 고흐의 목소리가 들리는 듯 합니다.

서양 예술계에서 '불멸'이라는 호칭이 허락되는 인물은 단 두명뿐입니다.
장애와 무관심과 싸워 이겨낸 불멸의 음악가인 악성 '베토벤', 그리고 정신과 삶을 모두 저당잡힌채 예술혼을 불사른 '고흐'입니다.
오늘, 그 '불멸의 영혼' 고흐의 열정이 절 설레이게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