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ANG WORLD

블로그 이미지
by serang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얼마전 인터넷상에서 일본에 있다는 [조선역해전도]라는 그림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이순신 통제사와 일본수군 구루시마 해적간의 전투를 그린 이 그림은 그 치밀한 묘사로 인해 현재 방영중인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과 비교의 대상이 되며 화제가 되었다.
나 역시 이미 오래전부터 거북배와 이순신에 관해 보통 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던 터였고, 그런 내가 보기에도 이 그림이 보통 그림이 아니라는 판단에 이 작품의 정체에 대해 추적에 들어갔다.
인터넷에서 얻은 단편적인 기초정보를 가지고 한국과 일본에 수소문한지 이틀째, 마침내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는 일본의 아오키 화랑(일본에는 같은 이름의 화랑이 무지 많았다)과 전화로 통화한 뒤 곧바로 일본으로 날아갔던 지난 토요일(5월 14일), 마침내 이 그림을 직접 만지고 볼 수 있었다.



인터넷 상에서 떠도는 수많은 소문과 논란은 이번 취재를 통해 아마도 깨끗하게 정리될 것같다.
작품의 정확한 이름은 [조선전역해전도]이며, 일본측은 구루지마 해적(수군), 아군의 이순신의 전라좌수영 수군이다.
가운데의 대형 전선(판옥선)이 과연 이통제의 좌선(기함)인가는 그림을 좀더 면밀하게 판독해야 확실하겠지만, 일단은 전라좌수영 좌선으로 판단되며 그림의 왼쪽 상단에 있는 통제영 거북배의 기치에는 전라좌수영 산하의 거북배라는 명문이 또렷했다.

그림을 그린 화가는 지금은 작고한 [오오타 텐요오]라는 유명한 일본의 역사화가로써, 이 그림 자체는 1940년 전후로 그려진 것이다.
이 그림이 이토록 정밀할 수 있는 것은 이 작가 자신이 뛰어난 역사전문가이었던 데다가 국내에는 알려지지 않은 일본측의 조선수군과 조선 선박에 대한 연구자료를 토대로 그려진 그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구한말까지도 조선에는 전선(판옥선)이 일부 방치되어 남아있었는데, 이를 최초로 학술적으로 연구한 것은 일본인들이었고, 그 자료는 모두 일본으로 건너갔을뿐만 아니라 아직 제대로 공개되고 있지 않은 자료가 많다.

과거 일본 제국 해군은 이순신 장군을 거의 신격화해서 숭배하는 전통이 있는데, 그 정점에는 일본 해군 최고의 영웅인 도고 제독이 있다.(올해가 그의 기념비적인 러일해전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도고 제독은 생전에 공공연히 자신은 이순신 제독의 발가락 끝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공언했고, 러시아 흑해함대와의 전투를 앞두고 이순신에게 승전을 기원하는 제사를 올렸을뿐만 아니라 실제 전투에 들어가서는 이순신의 학익진 전법을 그대로 사용해 대승을 거둔 장본인이다.

공식적인 이 그림에 대한 정보에는 없지만, 그림의 소장자인 아오키씨께서 들려주신 비공식적인 정보로는 이 그림이 일본 해군의 의뢰하에 그려진 것같다고 하는데, 실제로 그가 이 그림을 소장하기 전에 원래 이 그림은 2차 대전중 일본 해군의 수교사(해군 장교 집합소)에 걸려있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그림 세부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은 [멀티매니아 호비스트]의 군사전문잡지 월간 플래툰(PLATOON) 7월호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AND
드디어 스타워즈의 모든 요소가 결합된 마지막 스타워즈 에피소드의 본격 트레일러가 공개!
함대전투와 함께 이번 에피소드의 주인공은 역시 뭐니 뭐니 해도 다스베이더다.
과연 루카스의 말대로 가장 스타워즈 답고 스타워즈의 모든 비밀이 밝혀지는 영화가 될지... 올여름 가장 기대되는 영화중 하나.

AND
[취미]디오라마 ''미니 나라''로 오세요
[세계일보 2005-03-31 17:06]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고 싶다는 욕구는 본능이다 싶을 정도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다. 디오라마(Diorama)는 역사적으로 유명한 전투 장면 등을 축소해서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이다. 박물관 등에서 본 전투 장면 축소모형도 디오라마의 한 예다. 자신이 관심 있는 장면은 어느 것이든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 디오라마만의 매력이다. 예술 작품을 떠올릴 정도로 정교하고 수준 높은 디오라마는 상당한 노력과 열정을 필요로 하지만, 완성했을 때의 성취감은 그 노력을 보상하고도 남는다. SBS 드라마 ‘봄날’을 통해서도 소개됐던 디오라마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창조성은 필수=머릿속 장면을 구체적으로 재현해 내는 것이기 때문에 구성력이 없어서는 안 된다. 외국에서 디오라마가 종합예술로 불리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세부적인 묘사도 중요하지만, 전체 구성이 조화를 이루며 제작돼야 한다는 것이다. 디오라마는 근대 이후 서양에서 테이블 위에 인형들을 올려놓고 역사적인 전투 장면 등을 재현해 놓은 데서 유래한 만큼 역사적 지식이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세밀하게 재현하려면 당시 사물에 대한 관찰력도 따라야 한다. 이처럼 디오라마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역사에 대한 관심이나 관찰력이 높아지게 된다. 표현 기술은 주변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배경지식은 역사책을 통해 공부해야 한다. 세부적인 표현을 위해서는 관찰력을 기르는 노력이 필요하다.

전문 ‘프라모델러(Plastic+model+finisher)’이자 모형전문잡지 ‘네오’의 편집장인 김세랑(32)씨는 “디오라마에는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지식, 만들어내는 손재주, 도료 작업에서의 미적 감각, 구성력 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하다”며 “구성력을 통해 결정적으로 달라진다”고 말했다.

◆재료 준비도 자유=디오라마를 만들려면 단품 프라모델이 우선 필요하다. 시중에서 1만∼2만원 대에 살 수 있는 프라모델을 제작해 도료를 바르면 단품은 완성된다. 그다음부터 디오라마의 창의성이 시작된다. 단품으로 살 수 있는 인형, 탱크, 자동차 등을 제외하고 건물 등을 어떻게 배치하고 무슨 색을 칠할지, 땅과 산 들은 어떤 모습으로 만들지를 제작자가 창안해 내는 것이다.

디오라마의 가장 큰 특징인 창조성은 제작할 때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과도 맞닿아 있다. ‘베이스’(인형과 차량, 지형을 배치하는 받침)는 그림으로 치면 도화지에 해당한다. 베이스로는 액자가 많이 활용된다. 구하기도 쉽고 기본 모양인 사각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액자 이외에도 주변 목공소에서 구한 나무판이나 작은 CD 케이스도 가능하다.

디오라마 제작 경험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무엇으로 하는지는 자유다. 어떤 재료를 쓰든지 실물처럼 표현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말한다. 넓고 평평한 바닥만 있으면 ‘베이스’를 만들 수 있다. 산을 표현할 때 지점토, 스티로폼, 석고, 폐지 등 재료감은 주변에 널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흙이나 풀을 표현할 때도 ‘어떤 재료든 자유’다.

◆과욕은 금물=디오라마 수준도 천차만별이다. 기차가 움직이고 철도 신호체계, 자연 환경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것이라면 제작기간 수개월에 비용도 수백만원이 들어간다. 입문자에게 이는 단지 희망사항일 뿐이다.

김세랑 편집장은 “처음에는 자신의 실력에 맞도록 간단하고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며 “물이나 풀이 있는 장면을 처음부터 시도하려는 것은 무리”라고 조언했다. 그는 또 “처음에 마음에 드는 작품이 나오지 않더라도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두원 기자 flyhigh@segye.com

///////////////////////////////////////////////////////////////

오랜만에 모형관련 기사가 신문에 나는 것은 좋은데 기사를 풀빵찍듯이 인스턴트로 급조하는 것은 항상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다.
꼭 다른 매체등에서 이슈화 되고나면 너도 나도 달려드는 저급한 벌떼 저널리즘도 불만이고...
하지만 모형제작이라는 취미를 조금이라도 알릴 수 있을까 해서 매번 인터뷰에 응하긴 하지만, 정말로 진지하게 모형제작이라는 세계를 바라보고자 인터뷰를 청해오는 기자를 만나고 싶다,

제발 인터뷰 하러 와서 "이 장난감은 얼마냐"고 묻지 좀 말라고요!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969)
Who Is Serang (7)
Fine Art (19)
Miniature Art (319)
Wearable Art (21)
SerangCast (56)
Serang,s Life (215)
Motorcycle Diary (75)
Movie & Fun (73)
Candle War (41)
Mac Life (69)
Military (27)
Art Shop (24)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