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을 떠나온지 이제 만 일주일. 아침에 일어나면 하늘을 확인하는 일은 이제 습관이 되어버렸습니다. 다행히도 오늘 제주는 아주 맑게 개어서 한라산을 오르는데 문제가 없을 듯합니다. 제주도에 와도 맑은날에 한라산을 오르기 힘들다는 제주 사람들의 말처럼 아무래도 오늘은 행운의 날이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한라산에 오르기 위해 제주시에서 유명한 도깨비 도로쪽으로 접어들면 일반국도 99번, 이른바 1100도로가 나타납니다. 1100도로는 말 그대로 한라산 중턱인 해발 1100고지까지 올라갈 수 있는 도로로, 한라산의 동쪽을 관통하는 516도로와 더불어 한라산 서쪽 허리를 지나갑니다. 길이 경사가 가파르고 굽이가 심해서 사고도 많이 난다는 말을 많이 들은지라 조심조심 접어들었는데 사방을 뒤덮은 전나무와 삼나무에 압도 당하고 말았습니다. 해안도로와는 또다른 멋과 분위기로 마치 유럽의 숲속을 달리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멋진 도로입니다. 제주시로 돌아갈때는 516 도로를 탔죠.
도로를 달리다 보면 곳곳에 제주마 방목장이 있어서 그런지 말이나 소가 아무렇지도 않게 도로위로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사슴이나 노루등의 야생동물도 많아서 운전할때 조심해야 합니다. 한라산에는 유난히 까마귀가 많습니다. 덩치도 엄청나게 커서 몸통이 고양이 만한 까마귀들이 곳곳에서 울어댑니다. 제가 산행코스로 잡은 루트는 한라산을 오르는 네개의 루트중 영실코스입니다. 가장 짧은 코스이고 한라산 정상인 백록담까지 오르진 못하지만 절경중의 절경이 펼쳐지는, 관광객들에게 주목받진 못하지만 진짜 멋진 코스입니다. 주위를 둘러보며 허위허위 오르다보니 까마득한 절벽에서 한가로이 배를 채우고 있는 사슴을 볼 수도 있었습니다. 목이 타면 시원한 약수도 마시고 말이죠.
영실기암들의 모습입니다. 그야말로 까마득한 절벽이 산을 오르는 사람들을 압도해 버립니다. 어림잡아 눈대중으로 보아도 직벽의 높이가 200~300m는 되보입니다. 비가 올때는 이 절벽의 곳곳이 폭포로 변해버리기도 한다고 합니다. 영실기암의 측면을 오르다 뒤를 돌아보면 한라산 자락을 따라 곳곳에 솟아있는 제주의 오름들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1100고지에서 출발해 산을 오르기 시작한지 1시간 30분 정도...해발 1600고지 정도가 되면 이제 슬슬 한라산의 정상인 백록담이 언뜻언뜻 보이기 시작합니다. 발아래로 흐르는 구름과 굽어 보이는 제주와 바다가 보는 이로 하여금 눈을 떼지 못하게 합니다.
한라에는 등산로 곳곳에 야생화초들이 천지입니다. 종류도 많고 하나같이 고유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어서 이 꽃들만 보아도 한나절은 충분히 보낼 수 있을겁니다.
높이 오를 수록 나무들의 키는 작아지고 고사목과 주목들이 나타납니다. 먼 옛날, 한라가 뜨거운 용암을 토해내다가 갑자기 굳어버린 용암 덩어리들이 곳곳에 나타나며 마침내 한라의 주봉이 그 위용을 드러냅니다. 막상 주봉을 눈앞에 두고 보니 마저 오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산행은 해발 1700 고지까지만 허용이 됩니다. 한라산의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이미 산길이 막힌지 15년이 넘었다고 하네요. 현재 백록담에 오를 수 있는 코스는 2개뿐입니다. 이 거대한 산에 오르고 나니 이번엔 더 거대한 구름이 마치 전지전능한 신과 같은 모습으로 버티고 서있습니다. 대자연의 권능앞에 절로 머리가 숙여지는 모습입니다.
1700고지에서 앉아 주변을 한참 바라봅니다. 올라오는 길은 제법 경사가 심하고 돌계단이라 중간에 몇번 쉬어야 할 정도로 힘들었지만, 의외로 1650 고지부터 마지막 50여 미터는 마치 넓은 초원같은 풍경이 펼쳐집니다. 그 위에 다시 백록담이 있는 주봉이 우뚝 솟아 있지요. 관광객이 거의 없어서 이 넓은 곳에 30여분 동안 거의 저 혼자 있다시피 했어요. 행복했습니다^^
사실 아래 소개한 펜션에 지내는 동안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이 없었기에 제대로 포스팅을 할 수 없었습니다. 지금은 핸드폰을 노트북에 연결해 모뎀속도로 로그를 작성하고 있지요. 로그쓰기 전에 저녁을 먹었는데, 그동안 비싸고 혼자 먹기에는 2인분 이상만 팔아 쉽게 도전하지 못했던, 그러나 너무 먹고 싶었던 갈치조림을 먹었습니다. 싱싱한 제주 은갈치 한마리를 온전히 잡아 무와 감자, 대파를 썰어넣고 매운 양념으로 조려낸 갈치조림은 말로 형언할 수 없이 맛있었습니다. 제가 꼬맹이였을때도 갈치는 너무 비싸서 어머니께서 정말 큰맘을 먹어야 갈치 한토막 사오셔서 이렇게 조려주시곤 했는데, 바로 그때 그맛이었습니다. 내일은 그동안 머물렀던 제주를 떠납니다. 더 봐야할 것도 있고 머물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마냥 눌러앉을 수 만은 없는데다가 주요 관광지에는 여전히 사람들이 많아 여유로운 관광이 되지 못할듯하여 미처 못돌아본 곳들은 겨울에 한번 와서 보고싶습니다. 나갈때는 완도로 나가 남해를 거쳐 동해로 갈지, 아님 곧바로 부산으로 가서 올라갈지 아직 결정을 못했습니다. 내일 제주항에 나가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라산에 오르기 위해 제주시에서 유명한 도깨비 도로쪽으로 접어들면 일반국도 99번, 이른바 1100도로가 나타납니다. 1100도로는 말 그대로 한라산 중턱인 해발 1100고지까지 올라갈 수 있는 도로로, 한라산의 동쪽을 관통하는 516도로와 더불어 한라산 서쪽 허리를 지나갑니다. 길이 경사가 가파르고 굽이가 심해서 사고도 많이 난다는 말을 많이 들은지라 조심조심 접어들었는데 사방을 뒤덮은 전나무와 삼나무에 압도 당하고 말았습니다. 해안도로와는 또다른 멋과 분위기로 마치 유럽의 숲속을 달리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멋진 도로입니다. 제주시로 돌아갈때는 516 도로를 탔죠.
도로를 달리다 보면 곳곳에 제주마 방목장이 있어서 그런지 말이나 소가 아무렇지도 않게 도로위로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사슴이나 노루등의 야생동물도 많아서 운전할때 조심해야 합니다. 한라산에는 유난히 까마귀가 많습니다. 덩치도 엄청나게 커서 몸통이 고양이 만한 까마귀들이 곳곳에서 울어댑니다. 제가 산행코스로 잡은 루트는 한라산을 오르는 네개의 루트중 영실코스입니다. 가장 짧은 코스이고 한라산 정상인 백록담까지 오르진 못하지만 절경중의 절경이 펼쳐지는, 관광객들에게 주목받진 못하지만 진짜 멋진 코스입니다. 주위를 둘러보며 허위허위 오르다보니 까마득한 절벽에서 한가로이 배를 채우고 있는 사슴을 볼 수도 있었습니다. 목이 타면 시원한 약수도 마시고 말이죠.
영실기암들의 모습입니다. 그야말로 까마득한 절벽이 산을 오르는 사람들을 압도해 버립니다. 어림잡아 눈대중으로 보아도 직벽의 높이가 200~300m는 되보입니다. 비가 올때는 이 절벽의 곳곳이 폭포로 변해버리기도 한다고 합니다. 영실기암의 측면을 오르다 뒤를 돌아보면 한라산 자락을 따라 곳곳에 솟아있는 제주의 오름들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1100고지에서 출발해 산을 오르기 시작한지 1시간 30분 정도...해발 1600고지 정도가 되면 이제 슬슬 한라산의 정상인 백록담이 언뜻언뜻 보이기 시작합니다. 발아래로 흐르는 구름과 굽어 보이는 제주와 바다가 보는 이로 하여금 눈을 떼지 못하게 합니다.
한라에는 등산로 곳곳에 야생화초들이 천지입니다. 종류도 많고 하나같이 고유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어서 이 꽃들만 보아도 한나절은 충분히 보낼 수 있을겁니다.
높이 오를 수록 나무들의 키는 작아지고 고사목과 주목들이 나타납니다. 먼 옛날, 한라가 뜨거운 용암을 토해내다가 갑자기 굳어버린 용암 덩어리들이 곳곳에 나타나며 마침내 한라의 주봉이 그 위용을 드러냅니다. 막상 주봉을 눈앞에 두고 보니 마저 오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산행은 해발 1700 고지까지만 허용이 됩니다. 한라산의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이미 산길이 막힌지 15년이 넘었다고 하네요. 현재 백록담에 오를 수 있는 코스는 2개뿐입니다. 이 거대한 산에 오르고 나니 이번엔 더 거대한 구름이 마치 전지전능한 신과 같은 모습으로 버티고 서있습니다. 대자연의 권능앞에 절로 머리가 숙여지는 모습입니다.
1700고지에서 앉아 주변을 한참 바라봅니다. 올라오는 길은 제법 경사가 심하고 돌계단이라 중간에 몇번 쉬어야 할 정도로 힘들었지만, 의외로 1650 고지부터 마지막 50여 미터는 마치 넓은 초원같은 풍경이 펼쳐집니다. 그 위에 다시 백록담이 있는 주봉이 우뚝 솟아 있지요. 관광객이 거의 없어서 이 넓은 곳에 30여분 동안 거의 저 혼자 있다시피 했어요. 행복했습니다^^

원래 오늘은 한라산을 오르려했지만,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하늘을 확인하곤 좌절하고 말았습니다. 거대한 먹구름이 제주 전역을 덮고 있었고, 특히나 한라산은 완전히 구름에 가려 보이지도 않습니다. 나중에 택시기사 아저씨에게 들어보니 한라산에 비가 많이 와서 등산객들이 굉장히 고생했다는 후문입니다. 약간 아쉽긴 하지만 그동안 하루에 6~9시간씩 바이크를 타는 강행군을 해온지라 몸도 좀 힘들고, 해안도로를 일주하는 동안 정작 해수욕장에 느긋하게 있었던 적은 없었기에 숙소에서 멀지않은 협제 해수욕장을 가기로 했습니다.
많은 관광객들이 제주의 해수욕장으로 중문 해수욕장을 많이 찾는다지만, 실제로 제주에서 가장 좋은 해변중의 하나가 바로 제주시에서 차로 약 40분 가량 걸리는 협제 해수욕장입니다. 물이 맑고 모래가 고우며 해안 바로 앞에 있는 비양도까지... 작지만 아주 예쁘고 깨끗한 해수욕장입니다. 날이 흐려서 사람도 많지않아 좋았고 한시간 정도 바다에 몸을 담갔다가 해변에 앉아 약간 태닝을 했습니다. 뭐 볕이 안좋아 그다지 타진 않았어요^^
해수욕장에서 만난 바이크를 타고 여행을 온 예쁜 학생 커플입니다. 핑크색의 스쿠터가 눈에 쏙 들어왔는데, 부산에서부터 들어왔다고 합니다. 둘다 아주 착하고 바이크를 좋아하는 예쁜 커플이었습니다. 혼자 여행하며 그다지 외롭다는 생각은 안했는데, 이 커플은 조금 부러웠습니다^^
세랑월드에 간혹 찾아오는 블루님의 본관이 바로 제주도랍니다. 블루님의 사촌형님이 운영하시는 펜션이 있다면서 소개를 해줘서 묵어가기로 했습니다. 예쁘고 깨끗한 오렌지 힐이란 이름의 펜션으로, 방값도 깎아 주시고 친절해서 좋았습니다. 다만 좋은 방 주신다고 신경써주신 것이 침실에 웬 커튼이... 혼자 여행하는 시커먼 남정네가 저 커튼치고 무슨 분위기를 잡으란 말입니까!
오늘 최고의 수확은 바로 이것입니다. 제주도에서 막 잡은 한치를 이용해 만든 이른바 '한치 물회'입니다. 마치 냉면처럼 먹는 회로 국물도 냉면 육수와 맛이 비슷합니다. 너무 맛있어서 후룩후룩 금새 먹어치웠어요^^
많은 관광객들이 제주의 해수욕장으로 중문 해수욕장을 많이 찾는다지만, 실제로 제주에서 가장 좋은 해변중의 하나가 바로 제주시에서 차로 약 40분 가량 걸리는 협제 해수욕장입니다. 물이 맑고 모래가 고우며 해안 바로 앞에 있는 비양도까지... 작지만 아주 예쁘고 깨끗한 해수욕장입니다. 날이 흐려서 사람도 많지않아 좋았고 한시간 정도 바다에 몸을 담갔다가 해변에 앉아 약간 태닝을 했습니다. 뭐 볕이 안좋아 그다지 타진 않았어요^^
해수욕장에서 만난 바이크를 타고 여행을 온 예쁜 학생 커플입니다. 핑크색의 스쿠터가 눈에 쏙 들어왔는데, 부산에서부터 들어왔다고 합니다. 둘다 아주 착하고 바이크를 좋아하는 예쁜 커플이었습니다. 혼자 여행하며 그다지 외롭다는 생각은 안했는데, 이 커플은 조금 부러웠습니다^^
세랑월드에 간혹 찾아오는 블루님의 본관이 바로 제주도랍니다. 블루님의 사촌형님이 운영하시는 펜션이 있다면서 소개를 해줘서 묵어가기로 했습니다. 예쁘고 깨끗한 오렌지 힐이란 이름의 펜션으로, 방값도 깎아 주시고 친절해서 좋았습니다. 다만 좋은 방 주신다고 신경써주신 것이 침실에 웬 커튼이... 혼자 여행하는 시커먼 남정네가 저 커튼치고 무슨 분위기를 잡으란 말입니까!

제주에 들어온 것도 어느덧 3일째입니다. 어차피 첫날은 밤에 도착해서 잠만 잤으니 실질적으로는 이틀째라고 해야겠네요. 어제 서귀포에 도착한뒤 오늘은 섭지코지와 성산일출봉을 거쳐 제주도의 남은 해안 구간인 동쪽해안을 마저 돌아 제주시로 다시 돌아오는 코스를 잡았습니다. 이렇게 하면 제주도의 외곽을 완전히 한바퀴 도는 셈이 되죠. 아침에 숙소에서 바라본 서귀포항의 모습이고 오른쪽은 섭지코지입니다. 드라마 올인의 촬영지로 각광을 받아서 그런지 제가 다녀본 곳중 가장 사람이 붐비고 장사속도 밝은 곳이었습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곳은 좀 그냥 두면 안되는 것일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든 곳이었지만, 풍광은 정말 절경이었습니다. 사진을 많이 올리고 싶지만 곳곳에 꽃무늬 양산쓴 아주머니들과 닭살행각을 일삼는 커플부대들 때문에 이 한장의 사진만을 올릴 수밖에 없음을 이해해 주시길...
섭지코지의 입구를 나오다가 만난 녀석입니다. 제주마 한필이 제 애마를 물끄러미 쳐다보더라구요. 한때 말을 타고 오름을 달리는 제주도에서의 모습이 제 로망이었던때가 있었는데, 비록 생명이 있는 녀석은 아니지만 이제 저도 저만의 말 한필을 몰고 제주의 오름을 달리는군요. 오른쪽 사진은 나름대로 기대를 가지고 찾아갔지만 기대에 못미친 신영 영화박물관입니다. 태극기 휘날리며나 JSA같은 제가 참여해서 이미 잘 알고 있는 의상이나 소품들이 여기에 전시되어 있더군요. 보통 사람들은 충분히 재미있게 볼수도 있겠지만 입장료도 비싸고, 무엇보다 제가 만들었거나 제작에 참여한 작품들과 소품들이라고요! 그걸 돈내고 봐야 하나니...흑흑~
저를 비롯한 관광객들에게 제주는 환상이자 신비의 섬이지만 이곳에 사는 분들에겐 역시 그저 삶의 터전이 바로 이곳일 것입니다. 관광객들의 표정과 옷차림과는 달리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시는 어부와 해녀분들을 보며 '역시 사람 사는 곳은 다 똑같구나'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일하시는 모습을 한참 쳐다보게 되더군요.
역시 유명한 곳이 아닌 곳에는 관광객들의 출입을 막는 쇠사슬이나 말뚝이 없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방파제가 또 나오는데 어제 들렀던 곳보다 경치나 분위기가 참 좋았습니다. 아무도 없는 방파제에 혼자 앉아 한참을 바닷바람 맞아가며 땀을 식히고 머리를 식힙니다.
제주도에 300여개나 넘게 있다는 '오름'은 올라가라고 있는 곳. 역시 유명하지 않은, 사람들의 발길이 잘 닿지 않는 곳이 전 더 좋습니다.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오름에서 5시간을 넘게 달린 랩터의 엔진을 잠시 식혀줍니다.
제주도 해저에서 부글부글 긇고 있던 용암이 일시에 솟아오르며 만들어낸, 그 당당함이 보는 이를 압도하는 성산일출봉입니다. 일출을 볼 수 있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았겠지만, 아쉽게도 전 저녁때가 다 되어 도착했기 때문에 그 웅장한 모습을 눈 속에 담는 것 만으로 만족합니다. 곧 날이 저물 것이기 때문에 억지로 오르진 않았지만, 그 당당한 기상을 가슴에 담고 돌아왔습니다.
내일은 해안쪽이 아닌 산간도로인 1100도로를 타고 한라산으로 향할 예정입니다. 네개의 등산코스중 백록담을 볼 수 있는 코스는 두 곳, 그러나 등반중 경치가 정말 좋은 곳은 백록담을 오르지 않는 쪽이라고 합니다. 둘중에 어떤 코스를 택할지 고민중입니다.

섭지코지의 입구를 나오다가 만난 녀석입니다. 제주마 한필이 제 애마를 물끄러미 쳐다보더라구요. 한때 말을 타고 오름을 달리는 제주도에서의 모습이 제 로망이었던때가 있었는데, 비록 생명이 있는 녀석은 아니지만 이제 저도 저만의 말 한필을 몰고 제주의 오름을 달리는군요. 오른쪽 사진은 나름대로 기대를 가지고 찾아갔지만 기대에 못미친 신영 영화박물관입니다. 태극기 휘날리며나 JSA같은 제가 참여해서 이미 잘 알고 있는 의상이나 소품들이 여기에 전시되어 있더군요. 보통 사람들은 충분히 재미있게 볼수도 있겠지만 입장료도 비싸고, 무엇보다 제가 만들었거나 제작에 참여한 작품들과 소품들이라고요! 그걸 돈내고 봐야 하나니...흑흑~

저를 비롯한 관광객들에게 제주는 환상이자 신비의 섬이지만 이곳에 사는 분들에겐 역시 그저 삶의 터전이 바로 이곳일 것입니다. 관광객들의 표정과 옷차림과는 달리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시는 어부와 해녀분들을 보며 '역시 사람 사는 곳은 다 똑같구나'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일하시는 모습을 한참 쳐다보게 되더군요.

역시 유명한 곳이 아닌 곳에는 관광객들의 출입을 막는 쇠사슬이나 말뚝이 없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방파제가 또 나오는데 어제 들렀던 곳보다 경치나 분위기가 참 좋았습니다. 아무도 없는 방파제에 혼자 앉아 한참을 바닷바람 맞아가며 땀을 식히고 머리를 식힙니다.

제주도에 300여개나 넘게 있다는 '오름'은 올라가라고 있는 곳. 역시 유명하지 않은, 사람들의 발길이 잘 닿지 않는 곳이 전 더 좋습니다.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오름에서 5시간을 넘게 달린 랩터의 엔진을 잠시 식혀줍니다.
제주도 해저에서 부글부글 긇고 있던 용암이 일시에 솟아오르며 만들어낸, 그 당당함이 보는 이를 압도하는 성산일출봉입니다. 일출을 볼 수 있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았겠지만, 아쉽게도 전 저녁때가 다 되어 도착했기 때문에 그 웅장한 모습을 눈 속에 담는 것 만으로 만족합니다. 곧 날이 저물 것이기 때문에 억지로 오르진 않았지만, 그 당당한 기상을 가슴에 담고 돌아왔습니다.
내일은 해안쪽이 아닌 산간도로인 1100도로를 타고 한라산으로 향할 예정입니다. 네개의 등산코스중 백록담을 볼 수 있는 코스는 두 곳, 그러나 등반중 경치가 정말 좋은 곳은 백록담을 오르지 않는 쪽이라고 합니다. 둘중에 어떤 코스를 택할지 고민중입니다.